Canada/Immigration

캐나다 이민준비기#6 : 캐나다 연방정부 Express Entry Program 이란 준비방법, 프로필등록, 인비테이션 받은 후 과정

aliceintr 2021. 2. 18. 13:17
반응형

 

 

코로나 때문에 2020년 5월에서 6월경에 점수가 430점 대로 떨어지는 바람에 부랴부랴 아이엘츠 제너럴 시험을 보러 한국을 6월경에 갔고 (온타리오 락다운으로 토론토에서는 시험을 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아이엘츠 제너럴 시험을 6월에 치고 점수가 나오자마자 프로필을 등록했던 것 같다.

 

그러나 그 사이에 또 점수가 거의 470까지 오르는 바람에 2020년에는 인비테이션을 받는 것을 약간 포기하고 있었던 찰나에 2021년 1월 21일에 인비테이션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저번 주에 CIC가 파격적으로 27000명을 동시에 선발하는 일이 발생하면서 Express Entry CEC(Canadian Experience Class) 전형이 75점이라는 말도 안 되는 점수가 나오면서 많은 분들이 이번에 영주권 인비테이션을 받았을 거라 생각해서 프로필 작성 방법부터 인비테이션 수령 후 (ITA) 이후에 서류 준비와 프로필 재작성 및 메디컬 시험 등등에 대해 정말 자세하게 기술해 보고자 한다.

위의 사진은 2월 14일 발표된 점수이다. 나처럼 캐나다에서 1년이상의 Working Experience 가 있다면 누구나 이 전형에 해당이 되며 대체적으로 Federal Skilled Worker 전형보다 Canadian Experience Class 전형 점수가 낮은 편이다.

일단 Express Entry 에 등록을 해야지만 인비테이션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떻게 프로필을 등록하는지를 먼저 기술하겠다.

프로필을 등록하시기 전에 직업, 캐나다 학력 여부, 외국 경력 여부에 따라 프로필 작성 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 필자의 현재 상황과 비교해서 작성하길 바란다.


 

나의 상황

1. 한국에서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상태이고 캐나다 학력인증 기관인 WES에서 이미 이민에 관련된 학력을 인정받은 상태이다. 즉, 이민 점수에 4년제 학위가 반영이 될 수 있는 상태 - Federal Skilled Worker 전형에 해당

2. 캐나다에서 2년제 공립 컬리지를 졸업했다 : 100프로 정확한 정보는 아니지만 캐나다 공립 컬리지가 아닌 경우 이민 점수에 반영이 안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혹시나 이민을 목적으로 학교를 입학하시려는 분은 꼭 이민 정책을 확인한 후에 지원하기를 바란다.  - Federal Skilled Worker 전형에 해당

3. 졸업 후 오픈 워킹비자인 PGWP를 발급받아 캐나다 회사에서 NOC 레벨 0,A,B 직군에서 1년 이상 근무를 했다: NOC Level A에 해당한다.  - Canadian Experience Class 전형에 해당

4. 한국에서 NOC 레벨 0,A,B 직군에서 1년 이상 근무를 했다. - Federal Skilled Worker 전형에 해당

5. 10,000불 이상의 정착자금이 있다. 정착자금에 대해 프로필에 등록할 경우 - Federal Skilled Worker 전형에 해당.

 


 

 

본인이 어떠한 전형에 등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싶으면 아래 3개의 링크를 확인하기를 바란다.

 

1. Canadian Experience Class

www.canada.ca/en/immigration-refugees-citizenship/services/immigrate-canada/express-entry/eligibility/canadian-experience-class.html

 

Eligibility to apply for the Canadian Experience Class (Express Entry) - Canada.ca

Your experience must be at least: One year of full-time work 30 hours/week for 12 months = 1 year full time (1,560 hours), or equal amount in part-time hours, such as: 15 hours/week for 24 months = 1 year full time (1,560 hours) 30 hours/week for 12 months

www.canada.ca

 

2. Federal Skilled Worker

www.canada.ca/en/immigration-refugees-citizenship/services/immigrate-canada/express-entry/eligibility/federal-skilled-workers.html

 

Eligibility to apply as a Federal Skilled Worker (Express Entry) - Canada.ca

This is 1 of the 3 federal programs managed through Express Entry, our online application system for skilled workers. Choose another program.

www.canada.ca

 

3. Federal Skilled Trade Program

www.canada.ca/en/immigration-refugees-citizenship/services/immigrate-canada/express-entry/eligibility/skilled-trades.html

 

Eligibility to apply for the Federal Skilled Trades Program (Express Entry) - Canada.ca

In Canada, provinces, territories and federal authorities issue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in the skilled trades. To get a certificate, the provincial, territorial or federal authority must assess your training, trade experience and skills to decide if

www.canada.ca

 

 

 

 

세 개의 전형을 비교한 표는 아래와 같다.

 

 

 

 


 

 

이제 본격적으로 CIC 사이트에 들어가서 프로필 등록을 해보도록 하자.

먼저 이번 글은 회원가입 과정을 생략하기로 한다.

** 추천사항 : 만약 저처럼 학생 때부터 비자 신청 업무를 보았다면 한 아이디를 이용해서 이민준비까지 하는 것이 유용하다. 왜냐하면 바이오메트릭이나 여권정보 등이 자동으로 이어져서 정보가 넘어가기 때문이다.

CIC에 로그인을 한 후, 아래 링크를 타고 가면

www.canada.ca/en/immigration-refugees-citizenship/services/immigrate-canada/express-entry/submit-profile.html

 

Submit an Express Entry profile: Online form - Canada.ca

Fill out the online form If you want to come to Canada as a skilled immigrant, your first step is to submit your profile to the Express Entry pool. If you’re eligible, we will: place you in a pool with others who are also eligible give you a score and ra

www.canada.ca

 

 

아래 사진과 같이 [Find out if you're eligible]을 눌러서 본인이 Express Entry에 등록이 가능한지 체크를 한 후 아래의 "Create or sign in to your account" 눌러서 로그인을 한다.

 

 

그 후에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오는데 GC key 나 Partner 로그인하면 된다.

 

 

그 이후 페이지는 캡쳐 한 부분이 없어 바로 프로필 등록 부분으로 설명을 넘어가고자 한다. 아마 중간중간 빠진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 바란다.

 

1. Work History

캐나다 경력, 한국경력 모두 다 입력하면 된다. 반드시 기간이 중요한데 경력증명서에 나온 기간과 일치해야 한다. 꼭 이점을 유의해서 작성하기 바란다.

 

1) Does 이름 hava any work history? 일한 경험이 있는지를 물어봄  Yes

2) Since what year? 일이 시작한 시점 년/월

3) To? 현재 직업이 아니라면 이 경력이 종료된 시점 년/월

4)Hours per week? 주당 일한 시간 / 법적으로 풀타임은 37.5 시간이다.

5) Four digit NOC code? 캐나다 정부가 정한 직업에 대한 코드가 있는데 본인 직업명+ NOC code를 구글에 검색하면 코드를 쉽게 볼 수 있다.

나의 경우 개발자 이기 때문에 2174 코드를 입력했다.

6) Job Title ? 경력증명서에 나온 직업명

나의 경우 Application Developer 가 오피셜 직업명이다.

7) Employer/ Company Name? 재직한 회사이름

8) Country / Territory? 회사가 속한 국가

Canada or South Korea  둘 중 하나일 것 같다.

9) City / Town? 회사가 속한 도시

한국 경우는 시단 위를 쓰면 된다. 서울시, 성남시..

여러 개의 직업경력이 있을 경우 계속 추가해서 등록이 가능하다.

 

 

10) Intended work in Canada? 아마 LMIA 받은 분들은 이 부분을 'YES'로 해야 하지만 나 같은 경우는 아무런 이민에 관한 서포트를 받지 않음으로 "No"

11) Canadian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관련직종이 자격증이 필요한 직군이라면 Yes 나처럼 아무런 Requirement 가 없다면 "No"


 

2. Education History

본인의 학력사항을 다 집어넣으면 된다. 물론 Express Entry 점수에 가산이 되는 경우만.

한국 학력의 경우 반드시 WES에서 학력인증을 받아야 한다. WES에서 인증이 가능한 대학이 따로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본인 대학이 해당되는지 WES사이트에서 확인하기 바란다.

www.wes.org/ca/

 

World Education Services: International Credential Evaluation for Canada

Improve your Express Entry score for Canadian immigration with a WES Educational Credential Assessment (ECA) for international degrees.

www.wes.org


 

3. Official Language Assessment

영어로 시험을 볼 경우 대부분 한국분들은 아이엘츠 제너럴 시험을 볼 거라고 생각한다. 추후에 아이엘츠 제너럴 공부방법도 포스팅하고자 한다.

1) Can [이름] communicate in English and/or French?

당연히 EnglishFrench 혹은 둘다에 표시해야 한다.

2) Has [이름] taken an approved language test to assess their English skills?  Yes

3) Language test taken? IELTS

4) Language test version? IELTS General Training

5) Date of test results? 아이엘츠 오피셜 성적표에 "Date"부분의 날짜를 적으면 된다.

6) Language test result from or certificate number? 아이엘츠 오피셜 성적표를 발급받았다면 오른쪽 하단에

이렇게 생긴 부분이 있다. 그 옆에 나온 18자리 알파벳+숫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입력하면 된다.

7) Speaking, Reading, Listening, Writing? 각 영역의 점수를 성적표를 기준으로 작성하면 된다.

8) Has [이름] taken an approved language test to assess their Franch skills? 있으면 Yes를 적고 아이엘츠처럼 공인 점수를 해당 섹션의 맞춰 기입하면 된다.

 


 

4. Contact Information

본인 연락이 가능한 우편주소, 이메일을 입력하면 된다.


 

5. Personal Information

기본적으로 생년월일, 법적 이름, 여권정보를 기입한다. 꼭 여권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 갱신을 하길 바란다. 개인정보 부분이기 때문에 캡처 이미지는 생략 하기로 한다.


 

6. Research

리서치 부분은 본인이 맞는 부분을 선택하면 된다.

 

이렇게 프로필 등록이 마치게 되면 본인 점수가 메인 화면에 표시가 되고 2주에 한번 드로우를 해서 그 점수에 해당이 되면 인비테이션을 받을 수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인비테이션을 받은 후의 과정을 상세히 기술해 보고자 한다.

 

 

블로그 글이 본인의 영주권에 도움이 되셨다면 블로그 구독 부탁드리며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 이 글의 모든 저작권은 aliceintr에 있으며 무단 배포 및 사용은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사진출처 : Pinterest

반응형